0. 왜 여기에 이런 글을 싸는가?
-
난 스토리게임을 만들고 있음
- 근데 스토리 올리면 스포잖아?
- 그래서 스토리 작성 이론에 관해서 적음
- 많은 내용이 작년에 하려다 터진 서사학 세미나와 겹침
-
참고 교재
- The Cambridge Introduction to Narrative (H. Porter Abbott)
- Analyzing the Game Narrative : Structure and Technique (H. Wei)
- Narrative Discourse (G. Genette)
1. 개요 : 서사학(Narratology)과 서사(Narrative)
- 서사학은 서사에 관한 이론이다.
- 그렇다면, 서사는 무엇인가?
1-1. 서사란?
Definition 1. 서사 (Narrative)
서사(Narrative)는 세계관 (World) 위에서, 인과관계로 이루어진 이야기(Story)들의 구조 / 집합이다.
서사는 이야기 구조 및 기저의 세계관을 모두 아우르는 용어로써 사용된다.
따라서, 어떤 매체(어떤 게임, 영화, 드라마 등)의
1-2. 서사학의 종류
서사학은 크게 두 분류로 갈리게 된다 : 서사 구조론, 서사 표현론
Definition 2. 이야기 구조 (Histoire)
이야기의 구조(Histoire)는, 서사를 받치고 있는 이야기, 전개 방법, 인물의 구조, 인물과 사건의 관계, 서사의 형식과 구조 등을 총칭한다.
Definition 3. 이야기 언설 (Recit)
이야기의 언설(Recit)은, 구조적으로 표현된 이야기를 실제로 전달하는 연출, 대사 등의 방법을 총칭한다.
Histoire를 다루는 이론을 서사 구조론, Recit를 다루는 이론을 서사 표현론이라고 한다.
특히, 한국의 많은 서사들이 그 표현(Recit)에서는 고평가를 받지만, 구조(Histoire)에서 낮은 평가를 받는다.
1-3. 서사, 이야기, 세계관
서사는 세계관 위에 존재하는 이야기들의 구조라고 했다. 그렇다면, 이야기와 세계관은 무엇일까?
Definition 4. 이야기 (Story)
이야기(Story)란, 이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상관과 인과에 의해 정리되는 ,어떤 사물, 사실, 현상에 대하여 일정한 줄거리를 가진 개념을 의미한다.
이야기를 구성하는 요소에는 배경(Background), 인물(Character), 구성(Plot), 분위기(Tone)으로 구성된다.
이야기는 서로 인과관계에 의해 연결되게 된다.
이야기는 서사를 구성하는 가장 큰 파편으로, 독자 / 플레이어가 가장 직접적으로 접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Definition 5. 세계관 (Fiction World | World)
세계관이란, 가공의 세계를 구성하는 공리이며, 서사, 이야기, 상관관계의 이유를 부여해준다.
세계관은 조금 쉬운 말로, ‘설정’ 이라고 하며, 대개 ‘나무의 뿌리’ 로서 비유된다. 나무의 뿌리라는 말은, 서사에 꼭 필요하지만 겉으로 드러나면 서사가 죽는다는 뜻이기도 하다.